반응형

르네상스시대 2

르네상스시대 음학미학가 1/2(2023.06.29)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르네상스시대의 음악미학을 다룰 예정입니다. 오늘은 그 시대에 활동했던 인물을 중심으로 르네상스시대의 음악미학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팅토리스(Johannes Tinctoris, 1435년 ~ 1511년) 팅토리스는 음악을 독자적인 법칙에 의거한 예술로 이해합니다. 이것은 전통적인 생각과는 대단히 다른 것입니다. 그의 명철한 관찰방법은 합리적인 청각에 의거해 판단을 내리는 것입니다(예 : 협화음, 불협화음). 그는 음악이 하늘로부터 유래되었고, 하나님과 비슷한 완전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음악은 앞으로 올 완전성을 예감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그 작용은 카타르시스적이면서 엑스타시적입니다. 또한 그는 음악에 치료적인 측면이 있다는..

음악이론 2023.06.29

15~16세기 르네상스시대 음악미학(2023.06.27)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르네상스시대의 음악미학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양의 역사를 제대로 아시는 분이라면 중세시대나 르네상스 시대까지, 크게는 고전시대까지 왜 음악미학이나 철학이란 학문이 발달하지 못한 것을 잘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하여 지난 시간에도, 이번 시간에도 인물을 중심으로 알아볼 예정이며, 시대적인 배경, 종합적인 배경은 간단히 알아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고대시대와 중세시대의 이론들이 완전하게 사라지지 않았고, 여전히 광범위하게 퍼져있었습니다. 대표적으로 에토스론, 천체음악론과 같은 음악 이론들은 아직도 많은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중세시대의 사상 또한 상당부분 그대로 이어져 내려왔습니다. 르네상스라고 하면 '고대의 재발견' 혹은 '휴머니..

음악이론 2023.06.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