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내악 4

고전시대 실내악 5/5(2022.10.03)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지난시간에 다 못했던, 세 대가 중 베토벤의 현악사중주에 대해 조금 다루고, 현악기가 아닌 관악기는 어떤 앙상블을 남겼고, 어떻게 발전되어왔는지에 대해 다루어 볼 생각입니다. ③ 베토벤 베토벤은 작곡가로서의 입지를 어느 정도 다진 후에야 비로소 현악사중주를 작곡했습니다. 하여 현악사중주는 그의 다른 실내악 장르보다는 좀 더 이후에 작곡되었습니다. 그의 교향곡이 오케스트라 음악의 결정판 역할을 하듯이, 그의 현악사중주 작품들은 실내악적 사고를 총망라한 것입니다. 초기에 그는 모차르트처럼 하이든의 범주 안에서 현악사중주를 작곡했고, 당시 관습대로 여섯 곡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었습니다(Op. 18). 거기에는 주제-동기 가공작업, 악장들 간의 유기성 강화, 그리고 특유의 ..

서양음악사 2022.10.03

고전시대 실내악 3/5(2022.09.28)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고전시대의 실내악 중 피아노소나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오늘은 현악앙상블 중 이중주와 삼중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현악 앙상블 1) 이중주 18세기 후반이 되면, 실내악의 현악기들은 전문적인 연주자들을 위한 곡으로 확실히 자리를 잡게 됩니다. 이전 시간에도 말씀드린 바와 같이, 간단한 독주 선율 악기를 건반악기나 계속저음 악기가 후원하는 형태의 구성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독주적 건반악기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이제는 선율악기가 반주를 담당하게 되는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이런 일종의 과도기적 형태를 지나 각 악기가 독주적인 성부를 담당하는 중주 방식의 형태가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같이 어울려서 하는 음악에서 점차 청..

서양음악사 2022.09.28

고전시대 실내악 2/5(2022.09.26)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피아노의 위상이 점차 강화되면서 실내악이 기존의 의미가 아닌 아주 새로운 의미의 실내악으로 자리매김 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럼 오늘은 피아노 소나타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2) 피아노 소나타 ① 피아노의 등장 피아노는 대표적인 고전시대 악기입니다. 피아노는 18세기 후반에 음악계의 주목을 받은 뒤 전성기 고전시대의 쳄발로, 클라비코드 등의 이전 건반악기들을 뛰어넘게 되었습니다. 이전까지는 쳄발로가 가장 대표적인 건반악기었습니다. 쳄발로는 건반을 누를때마다 기타의 피크 역할을 하는 깃촉이 줄을 퉁기면서 소리를 내는 악기입니다. 이 악기는 음량이 풍부하고, 여러 단의 건반을 갖추기도 하며, 음역에 따른 음색의 대비와 폴리포니적인 다성..

서양음악사 2022.09.26

고전시대 실내악 1/5(2022.09.23)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고전시대의 성악음악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고전시대에 들어서면서 성악음악의 위상이 이전보다 많이 약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저는 이런 이유가 역사적인 것도 한 몫 했다고 보는데, 바로 시민혁명과 산업혁명을 통해 사회적 분위기가 완전히 바뀐 것도 있고, 종교개혁 이후로 혼란스러운 종교가 점차 힘을 잃어버리면서 성악 중심의 음악관에 변화가 찾아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물론 이런 제 관점은 제 주관적인 입장이기 때문에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고전시대의 기악음악의 첫 장르, 실내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ⅩⅥ. 고전시대의 실내악 실내악은 말 그대로 실내에서 연주하는 음악이라고도 이해할 수 있지만, 사실 실내에서 연주할 수 있는 정도의 소규모로 편성된..

서양음악사 2022.09.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