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베르티멘토 2

고전시대 실내악 5/5(2022.10.03)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지난시간에 다 못했던, 세 대가 중 베토벤의 현악사중주에 대해 조금 다루고, 현악기가 아닌 관악기는 어떤 앙상블을 남겼고, 어떻게 발전되어왔는지에 대해 다루어 볼 생각입니다. ③ 베토벤 베토벤은 작곡가로서의 입지를 어느 정도 다진 후에야 비로소 현악사중주를 작곡했습니다. 하여 현악사중주는 그의 다른 실내악 장르보다는 좀 더 이후에 작곡되었습니다. 그의 교향곡이 오케스트라 음악의 결정판 역할을 하듯이, 그의 현악사중주 작품들은 실내악적 사고를 총망라한 것입니다. 초기에 그는 모차르트처럼 하이든의 범주 안에서 현악사중주를 작곡했고, 당시 관습대로 여섯 곡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었습니다(Op. 18). 거기에는 주제-동기 가공작업, 악장들 간의 유기성 강화, 그리고 특유의 ..

서양음악사 2022.10.03

고전시대 실내악 4/5(2022.09.30)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현악 앙상블 중 이중주와 삼중주의 형태와 어떤 식으로 발전해왔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그보다 조금 더 발전한 형태인 현악사중주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3) 현악사중주 고전시대의 대표적 실내악 장르는 제1바이올린, 제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로 편성되어 있는 현악사중주입니다. 이 연주 방식 자체가 고전시대의 음악 이상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가 "네 명의 이성적인 사람들이 서로 담소하는 것을 듣는다(1829년)"고 말했던 바와 같이, 고전시대에 현악사중주라는 장르는 안정적인 음악적 짜임새를 가능케했고, 상류층의 고상한 취향을 대변하다시피 했습니다. 현악사중주의 등장은 실내악 분야에서 바로크 시대와 전고전시대가 전성기 고전..

서양음악사 2022.09.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