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발라타 2

14세기 프랑스, 이탈리아 음악 3/3(2022.06.03)-프랑스, 이탈리아 세속음악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세속음악은 어떻게 발전되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2. 14세기 말의 프랑스 세속음악 1370년 경부터 1400년 경까지 프랑스의 작곡가들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주로 다성음악으로 된 세속노래들을 작곡하였으며, 기욤 드 마쇼가 정착시킨 정형시 형식을 그대로 차용하여 사용하였습니다. 그들이 작곡한 노래들은 음악 양식적으로 봤을 때 기욤 드 마쇼가 작곡한 아르스 노바의 양식을 심화시킨 것으로, 리듬은 점점 복잡해지고 선율에는 변화음이 자주 사용되는 등의 이전 음악에서는 볼 수 없는 난해한 양상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리듬적인 면에서 그런 양상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가령 연속되는 당김음의 사용이나 한 성부 안에서 빈번한 박자의 ..

서양음악사 2022.06.03

중세의 세속음악 2/3(2022.05.26)-트루베르, 단성노래의 연주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중세의 세속음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 트루베르 트루바두르가 남부 프랑스에서 활동한 음유시인이라면, 지금의 파리를 중심으로, 즉 북부 프랑스에서 작사와 작곡을 겸한 음유시인들을 트루베르(Trouvere)라고 합니다. 이 당시에는 남부 프랑스와 북부 프랑스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했는데, 남부 프랑스에서 사용하는 지방어는 랑그 독(langue d' oc), 북부 프랑스에서 사용하는 지방어는 랑그 도일(langue d' oil)이라고 합니다. 이 북부 프랑스의 언어가 지금의 프랑스어로 발전하게 된 것입니다. 트루베르는 12세기 말에 두드러진 활동을 하였으며, 13세기 말까지 그들의 활동이 이어졌습니다. 특히 그들은 트루바두르로부터 많은 영향..

서양음악사 2022.05.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