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피타고라스 2

고대시대 음악미학 2/3(2023.06.05)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고대시대의 음악미학에 대해 알아볼텐데, 오늘은 수와 음악, 에스토론, 음악교육론을 중심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수와 음악/에토스론/음악교육론 피타고라스(Pythagoros, 기원전 580년~500년)는 스스로 저술한 책이 없고, 그의 제자들에 의해 남겨진 기록들이 그의 의견이라고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전해져 내려오는 내용에 따르면 피타고라스는 수를 사물의 본질로 본다는 것인데, 이에 따라 음악을 수학적으로 기초하는 전통이 생겨났습니다. 이러한 전통으로 에토스(Ethos)론, 천체음악(천공 하모니), 그리고 조율법이 생겨났으며, 이들은 피타고라스의 이론이라고 전해집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피타고라스를 '음악의 발견자'라고도 칭하는데, 수에 대..

음악이론 2023.06.05

중세음악 1/4(2022.05.06) - 고대음악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좋은 연주자가 되기 위해선 연주하려는 곡의 시대적 배경, 작곡가의 배경 등을 알면 더욱 재미있는 연주가 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제 연주를 들어주시는 관객분들께도 유익할 수 있겠죠. 그렇기 때문에 연주가라면 음악의 역사를 어느 정도 알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저는 중세시대부터 현대음악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복잡한 내용일 수 있어 조금씩 간략하게 서술을 해 나갈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처음의 시작은 중세의 종교음악입니다. Ⅰ. 중세 중세라는 단어는 르네상스시대의 학자들이 서양의 역사를 고대-중세-르네상스의 세 단계로 인식하면서 생겨났습니다. 그 학자들은 고대문명의 끝과 자신들의 문명 사이에 어떤 시대가 있었다고 보았는데..

서양음악사 2022.05.06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