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3

바로크시대 성악음악 2/5(2022.07.14)-몬테베르디, 오페라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바로크시대의 성악음악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에 대해 알아보고, 지난 시간에 다루었던 오페라의 변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는 르네상스 시대의 마드리갈 작곡가로서도 활동했었는데, 바로크 시대의 기점으로 간주되는 1600년대에도 이미 동시대의 지도적인 작곡가로서도 인정받으며 활동하고 있었습니다.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는 혁신주의자이었기 때문에 현대음악의 창시자로도 묘사되었습니다. 무엇보다 많은 양의 마드리갈 작품들을 작곡하고 출판했던 그는 오페라라는 장르가 탄생한 후에 가장 먼저 오페라를 작곡한 첫 오페라 작곡가이기도 했습니다.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의 첫 번째 오페라 《..

서양음악사 2022.07.14

바로크시대 음악양식 2/5(2022.07.06)-음악양식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본격적으로 바로크 시대의 음악양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바로크 시대의 음악양식의 특징은 약 10가지로 구분지을 수 있는데,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바로크 음악양식의 특징 바로크 시대의 새로운 음악 양식들은 유럽의 전 지역에서 같은 방식으로 동시에 발전한 것이 아닙니다. 음악 분야에서 양식의 변화는 1560년 경 베네치아에서부터 시작되었는데, 1580년이 되면 이탈리아 전역에 변화된 양식이 퍼졌습니다. 바로크 시대 초기의 수십 년 동안에 이탈리아는 음악의 창조적 활동의 발원지였지만, 프랑스와 독일, 스페인과 영국도 곧 음악 활동의 중심지가 되어 차츰 유럽의 음악을 선도하는 국가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국가의 정치체제에 따라 조금 다른 음악적인 발전이 이..

서양음악사 2022.07.06

민족음악 2/4(2022.06.19)-마드리갈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이탈리아에서 성행했던 민족음악들인 라우다, 프로톨라, 마드리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여기서 마드리갈은 네덜란드에 지배되었던 유럽의 음악을 이탈리아로 다시 되돌렸을 만큼 중요한 장르이며 성행했던 장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은 마드리갈의 초기와 중기, 후기 시대로 나누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초기 마드리갈(1525년 ~ 1545년) 초기의 마드리갈의 대표적인 작곡가로는 피렌체와 로마에서 활동했던 네덜란드 출신의 필립페 베르들로(Philippe Verdelot, 1480, 1485~1552년 이전)와, 네덜란드 작곡가들과 비견되는 최초의 이탈리아 출신의 작곡가 코스탄초 페스타(Costanzo Festa, 14..

서양음악사 2022.06.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