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성음악 5

초기 르네상스 음악 정리(2022.06.12)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지난 4일에 걸쳐 알아본 초기 르네상스의 음악을 알아본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고, 중세음악과 르네상스의 음악을 비교하는 시간을 가짐을 통해, 다시 한 번 상기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초기 르네상스 음악 요약 나폴리 왕국의 궁정 음악가로 활동하기도 하였고, 15세기의 중요한 음악 이론가로도 활동했던 요한네스 팅토리스(Johannes Tinctoris, 1453년 경 ~ 1511년)가 1477년에 저술한 그의 대위법 이론서 서문에는 존 던스터블과 기욤 두파이, 질르 뱅슈와를 새로운 음악 양식의 창시자로 밝히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우리는 세 사람의 업적이 그 당시에도 정확하게 평가받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5세기 전반부의 음악적인 흐름은 그 이전 시..

서양음악사 2022.06.12

초기 르네상스 음악 3/4(2022.06.09)-영국 음악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음악 양식의 혼합이 점차 두드러지고, 이후에는 영국음악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설명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것이 초기 르네상스에 이르러 영국의 음악 양식들이 다른 나라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는데, 그 전에 영국에 어떤 음악 양식이 발달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에 오늘은 영국의 음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 영국음악 중세시대까지의 서양 음악사에서 영국의 음악사가 빠져있는 것은 중세시대에 영국의 음악이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것 때문이 아니라, 영국에 남아있는 단편적인 자료들로는 유럽 대륙에서 진행되었던 음악사의 흐름과 함께 영국의 음악사를 다루는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15세기에 이르러 영국 작곡가들이 유럽대륙으로..

서양음악사 2022.06.09

초기 르네상스 음악 2/4(2022.06.07)-르네상스 음악의 특징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르네상스의 시대적인 흐름들을 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음악적인 이야기가 아니어도 이런 것이 중요한 이유는 시대적인 상황과 흐름들에 따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음악의 양식이나 가사, 장르 등에 변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특히 르네상스는 인본주의의 시작으로 그 점이 음악에는 어떻게 녹아들었을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바로 오늘부터 그 초기의 르네상스의 음악은 어떤 형식들을 취했는지, 어떤 기법들이 사용되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2. 르네상스 음악의 일반적 특징 1) 4성부 다성음악 르네상스 시대에 들어서면 이전보다는 기악음악이 점점 중요해지는 시기가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르네상스 시대도 성악 음악이 중심이 되어 작곡 또..

서양음악사 2022.06.07

다성음악 3/3(2022.05.23)-모테트, 프랑코 기보법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다성음악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시간에는 오르가눔 성부에서 발전된 모테트와 네우마 기보법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기보법, 프랑코 기보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4. 모테트(motet) 13세기 후반에 이르러 기존에 유행하던 파리양식의 오르가눔과 콘둑투스는 점차 사라져가고 새로운 양식인 모테트라는 양식이 크게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모테트는 갑자기 나타난 음악장르가 아니라 오르가눔의 클라우줄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레고리오 성가에서 트로푸스와 부속가가 유래되어진 것과 비슷한 과정을 통해 생겨났습니다. 오르가눔의 클라우줄라 부분은 하나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대체 가능한 클라우줄라들이 있었으며, 연..

서양음악사 2022.05.23

다성음악1/3(2022.05.20)-오르가눔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고대부터 중세시대, 교회음악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약 9세기 경부터 그레고리오 성가는 트로푸스와 전례극, 부속가의 성장과 함께 변천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거의 같은 시기에 중세시대의 음악들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성가들을 장식하고 확장하였습니다. 그 방식은 두 개 이상의 다른 선율을 동시에 연주하는 방식으로, 이 방식을 다성음악이라고 부릅니다. 이 다성음악의 발달은 서양음악과 다른 문화의 음악과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9세기경에 나타나는 서양의 다성음악들은 그 후에 많은 변화를 겪었으면서 화성의 개념을 발전시켰고, 이는 20세기까지의 서양음악을 특정짓는 기본적 요소가 되었습니다. 그럼 중세 이후의 음악사를 시작해보겠습니다. Ⅱ..

서양음악사 2022.05.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