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21

트럼펫 호흡법 1/2(2022.05.11) - 이론편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트럼펫의 호흡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호흡에 대한 내용을 먼저 알아보고 이후 제 경험을 토대로 호흡에 대한 실전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호흡이란 내용을 다루는데에 있어 누구에게나 모두 맞는 방식이 아닐수도 있고, 이해가 안될 수 있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신봉하거나 정답이라고만 생각하지 마시고, 한 번 참고를 하신 이후에 활용을 하는 방법으로 나아가시길 당부드립니다. 1. 호흡법(Breathing) '호흡'이란 숨을 내쉬고 들이쉬는 과정으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를 들이쉬고, 몸 안의 이산화탄소를 내뱉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자연은 우리에게 자연스럽게, 그리고 무의식에서도 호흡할 수 있도록 해주..

트럼펫 2022.05.11

트럼펫의 구조와 원리 3/3(2022.05.10)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트럼펫의 구조와 원리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 중에서도 오늘은 배음과 밸브의 원리를 좀 더 알아보고자 합니다. 4. 배음 어제 올려드린 트럼펫의 원리를 통해 아무것도 누르지 않으면 자연 배열음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외의 음정은 연주할 수 없죠. 그래서 아무것도 누르지 않은 상태(T T T)에서 연주를 한다면 "도-도-솔-도-미-솔-시b-도-레-미-파#-솔"이 됩니다. 즉, 올라갈수록 점점 폭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밸브를 누르게 되면 모든 음계와 반음계의 연주가 가능해지고, 위의 각 조의 배음과 같은 배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반드시 알고 넘어가야 하는 것이 있는데, 배음이라는 것은 음향..

트럼펫 2022.05.10

트럼펫의 구조와 원리 2/3(2022.05.09)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트럼펫의 구조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지난 시간에 알아본 것이 트럼펫의 외부라면, 오늘은 트럼펫의 내부, 즉 트럼펫의 구조와 원리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3. 트럼펫 피스톤의 원리 밸브는 피스톤(Piston)식과 로터리(Rotary)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로터리식은 다소 부드러운 소리를 낼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기동 방식에 있어선 피스톤식이 좀 더 효율적입니다. 트럼펫의 시작점은 3개의 밸브를 모두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부터 시작합니다(도). 아무것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의 연주는 각 배음에 대한 가장 높은 음을 제공하게 되고, 밸브를 누를 때마다 관의 길이가 점점 길어져 하향 반음을 얻게 되는 원리입니다. 즉 같은 ..

트럼펫 2022.05.09

트럼펫의 구조와 원리 1/3(2022.05.08)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트럼펫의 구조와 원리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구조와 원리는 아무래도 과학적인 접근이 아주 조금은 필요하기 때문에 어렵더라도 한 번 정도는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특히 트럼펫의 구조와 원리를 잘 이해하신다면 트럼펫 연주 시에 가포지션 활용을 더욱 쉽게 하실 수 있으실겁니다. 오늘날 트럼펫으로 연주나 합주를 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바로 밸브트럼펫입니다. 밸브 트럼펫의 기원이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는데 정확한 시기나 방법을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앞서 트럼펫의 역사를 통해 유추해볼 수 있듯이 1813년 밸브시스템이 발명된 이후 밸브트럼펫도 그 이후에 개발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좀 더 명확하게 보면, 1839년 프랑스에서 현재 사용되는 밸브트럼..

트럼펫 2022.05.08

트럼펫의 뮤트(2022.05.07)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바로 트럼펫의 뮤트입니다. 뮤트도 트럼펫처럼 종류가 다양한데, 그 종류는 어떤 것이 있는지, 그리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관악기의 소리를 통한 하모니도 아름답지만, 연주를 더욱 다채롭고 맛있게 해주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뮤트(Mute)입니다. 뮤트란 약음기라고도 불리우는데, 약음기라는 의미는 악기의 음 진동이나 전파를 제어하여 음질에 변화를 주는 기구를 뜻합니다. 금속재나 목재, 종이류 등 여러 재질로 만들어진 트럼펫 뮤트는 악기의 벨(Bell) 속에 넣어서 삽입한 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원추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케스트라, 취주악, 재즈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뮤트는 바그너(Wilhelm Richar..

트럼펫 2022.05.08

중세음악 1/4(2022.05.06) - 고대음악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좋은 연주자가 되기 위해선 연주하려는 곡의 시대적 배경, 작곡가의 배경 등을 알면 더욱 재미있는 연주가 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제 연주를 들어주시는 관객분들께도 유익할 수 있겠죠. 그렇기 때문에 연주가라면 음악의 역사를 어느 정도 알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저는 중세시대부터 현대음악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복잡한 내용일 수 있어 조금씩 간략하게 서술을 해 나갈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처음의 시작은 중세의 종교음악입니다. Ⅰ. 중세 중세라는 단어는 르네상스시대의 학자들이 서양의 역사를 고대-중세-르네상스의 세 단계로 인식하면서 생겨났습니다. 그 학자들은 고대문명의 끝과 자신들의 문명 사이에 어떤 시대가 있었다고 보았는데..

서양음악사 2022.05.06

트럼펫 마우스피스(2022.05.05)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트럼펫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오늘 알아볼 것은 바로 마우스피스인데, 마우스피스는 트럼펫을 연주하기에 어쩌면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 마우스피스는 어떤 기능과 구조를 갖고있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오늘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마우스피스(Mouthpiece)의 구조 트럼펫을 불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있습니다. 바로 마우스피스입니다. 이 마우스피스는 음을 만들어 내기 위한 것인데, 사람의 입술이나 리드의 떨림을 담아내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금관악기는 목관악기처럼 나무 리드가 없기 때문에 사람의 입술이 그 역할을 대신하여 음을 발생시킵니다. 그래서 트럼펫이나 다른 금관악기들은 입술의 떨림을..

트럼펫 2022.05.05

트럼펫의 종류2/2(2022.05.04)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트럼펫의 종류를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이어서 트럼펫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5. F조 트럼펫 F조 트럼펫은 19세기 중엽부터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Bb악기부터 조가 올라갈 수록 악기가 짧고 작아지기 때문에 F조 트럼펫은 '작은 트럼펫'이라고도 불리웁니다. F조 트럼펫은 바흐의 제 2번에서 사용되는데, Eb조 트럼펫과 비슷한 느낌의 음색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높은 음역에서 부드러운 음색이 나고, 음질은 화려하고 장중합니다. https://youtu.be/VC24gV1o7XQ 출처 : youtube/Bach: Brandenburg Concerto No. 2 | Claudio Abbado & the Orchestra Mozart 6...

트럼펫 2022.05.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