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전시대 16

18~19세기 음악미학 시대적배경 1/2(2023.07.13)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부터는 음학미학이 가장 활발히 논의되었던 시기인 18, 19세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세대와는 질적, 양적으로 내용이 엄청 많기 때문에 18~19세기의 음악미학은 아주 긴 시간동안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먼저 시대적 배경을 알아보고 큰 미학적 흐름을 몇 가지로 나누어 논의한 후 대표적인 작곡가에 대해 서술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18세기의 시대적 배경입니다. 1. 18세기 18세기는 사상적으로 개인과 시민, 이성, 인간(성)을 강조하기 시작한 시기였고, 이런 흐름에 의해 인간에 대한 낙관주의가 팽배해지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사회와 사회의 제약적 규범은 인간의 발전과 신장을 위해 개선되어져야 될 대상이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동안 인간은 많은 ..

음악이론 2023.07.13

고전시대 오케스트라 음악 9/9(2022.10.24)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드디어 고전시대 오케스트라 음악의 마지막 시간입니다. 바로 베토벤의 협주곡에 대해 알아보고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3) 베토벤 베토벤은 협주곡 분야에서 두 대가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작품을 남겼습니다. 그의 협주곡 작품들은 모두 1809년 이전에 작곡된 작품들인데, 다섯 개의 피아노협주곡, 바이올린협주곡(Op. 61), 피아노와 바이올린 및 첼로를 위한 삼중 협주곡이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이 외에도 일부가 불완전한 형태로 전해지고 있는 F장조 오보에협주곡(Hess 12)이 있고, 독주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두 개의 로망스(Op. 40, Op. 50), 피아노와 합창 및 오케스트라를 위한 《합창 환상곡》(Op. 80)이 협주곡 형태의 작품으로 간주됩니다...

서양음악사 2022.10.24

고전시대 오케스트라 음악 8/9(2022.10.21)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고전시대의 대가 중 모차르트의 협주곡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전시대의 세 대가 중에 협주곡 분야에서 가장 탁월한 업적을 남긴 작곡가는 단연 모차르트입니다. 그는 협주곡의 양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질적인 면에서 고전시대의 전형을 만들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20여곡에 달하는 피아노협주곡이 단연 돋보이는 작품이며, 이외에는 바이올린, 호른,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파곳을 위한 협주곡들도 작곡하였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앞 시간에 언급했듯이 다수의 협주적 교향곡 작품들도 남겼습니다. 모차르트는 악기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해당 악기가 고난이도의 기교적인 음형을 연주한다고 해도 그게 작품 전체에 튀지 않고 자연스럽게 조화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리..

서양음악사 2022.10.21

고전시대 오케스트라 음악 7/9(2022.10.19)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협주곡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고,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오늘부터는 고전시대의 세 명의 대가들은 어떻게 협주곡을 썼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럼 오늘은 하이든으로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하이든 하이든은 교향곡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독주협주곡도 작곡한 작곡가였습니다. 그는 11곡의 피아노협주곡 외에도 바이올린, 첼로, 트럼펫, 호른, 오르간협주곡을 남겼고, 특이하게 회전 라이어와 소규모 오르간이 결합된 자동 악기(Lira organizzata)를 위한 협주곡, 바리톤을 위한 협주곡도 작곡했습니다. 그의 협주곡 작품들은 바로크 시대나 전고전시대의 전통에 좀 더 가까이 있었던 시기에 다수가 작곡되었고, 바이올린협주곡과 첼로협주곡 등은..

서양음악사 2022.10.19

고전시대 오케스트라 음악 6/9(2022.10.17)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까지는 고전시대 오케스트라 음악 중 교향곡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번 시간에는 협주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챕터도 교향곡과 마찬가지로 먼저 협주곡에 대해 서술한 뒤 각 대가들의 활동과 변화 등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2. 협주곡 1) 독주협주곡의 번성 ① 협주곡의 종류 고전시대에는 오케스트라와 하나의 악기가 대비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독주협주곡이 선호되었습니다. 특히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독주협주곡이 많이 작곡되었습니다. 고전시대 초기에는 오케스트라 세레나데나 디베르티멘토 형식의 편안한 음향에 바이올린 또는 쳄발로 등의 독주가 등장하는 형태가 흔했습니다. 바이올린협주곡은 바로크시대의 아르칸젤로 코렐리나 안토니오 비발디의 전통에 이어 만하임 ..

서양음악사 2022.10.17

고전시대 오케스트라 음악 5/9(2022.10.14)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베토벤의 교향곡이 어떻게 발전되었는지 알아본 시간이었다면 오늘은 베토벤의 교향곡이 어떤 영향을 이어 베토벤의 교향곡에 대해 계속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③ 베토벤 교향곡의 유산 18세기 말, 하이든(런던교향곡)과 모차르트(후기 세 작품)에게서 볼 수 있는 대형 교향곡들은 이 장르가 음악회에서 다른 추가적인 구성이 없더라도 스스로 음악적 의미를 형성시키고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줍니다. 교향곡이 전하는 내용은 가사나 기능에 얽애미지 않고, 곡 자체로 음악적인 것입니다. 순수하게 음악을 청취해 작품의 의미를 공감할 수 있는 정도를 본다면, 교향곡이 가장 이상적인 음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교향곡이 사회적인 행사나 여흥의 수준을 넘어 형이상학적 가치를..

서양음악사 2022.10.14

고전시대 오케스트라 음악 4/9(2022.10.12)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세 대가 중 마지막 한 분인 베토벤의 교향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두 대가에 비해서 베토벤은 적은 양의 교향곡을 남겼지만, 질적인 측면에서 볼 때, 두 대가의 교향곡에 전혀 밀리지 않는 뛰어난 작품을 작곡했습니다. 베토벤의 내용은 양이 많으므로 두 번으로 나누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 베토벤 ① 베토벤 교향곡의 위상 베토벤은 오페라보다는 교향곡을 작곡하는 데에 더욱 심혈을 기울였고, 그 때문인지 오늘날까지도 대표적인 교향곡 작곡가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의 교향곡들은 모두 합해 총 9개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것은 한편으로 교향곡의 규모가 커진 것을 의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만큼 고도의 긴밀성과 개성을 지닌 작품임을 말해줍니다. 모차르트에 이..

서양음악사 2022.10.12

고전시대 오케스트라 음악 3/9(2022.10.10)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세 대가 중 모차르트의 교향곡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비록 짧은 인생을 살았지만 아주 반짝반짝 빛나는 보석같은 작품들을 많이 남겼던 그의 교향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 모차르트 ① 초기 교향곡 모차르트는 런던에 있을 때 작곡했던 1번 교향곡(K. 16)을 시작으로 41번 《주피터 교향곡》(K. 551)까지 남겼습니다. 이 외에 모차르트의 교향곡일 수도 있다는 작품이 약 10여개가 있기도 합니다. 현대에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번호들은 옛 모차르트 전집의 분류에 따라서 부여한 것입니다. 모차르트의 초기 교향곡들은 이탈리아 전통의 서곡과 전고전시대의 우아함을 차용한 방식으로 작곡되었습니다. 이를테면 초기의 교향곡들은 당시 런던에서 활동했던 카를 프레드릭 아벨..

서양음악사 2022.10.10

고전시대 오케스트라 음악 2/9(2022.10.07)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하이든의 교향곡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 교향곡의 아버지라고 왜 불리는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하이든 ① 교향곡 작곡의 시작 하이든은 약 1760년경부터 교향곡 장르를 작곡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초기에 그는 이탈리아 전통의 서곡에 만하임과 비엔나 전통의 교향곡 작품들을 선보였습니다. 그가 일을 했던 에스테르하지 가의 별궁인 에스테르하자(페르퇴드)에서 그는 20명 안팎의 오케스트라와 4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극장을 활용하였습니다. 밝고 경쾌한 연회용 음악에 준하는 그의 초기 교향곡들은 때때로 협주곡적(콘체르탄테, concertante)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의 오케스트라에는 뛰어난 바이올린 연주자와 첼로 연주자가 있었기 때문에 주로 바로크 ..

서양음악사 2022.10.07

고전시대 오케스트라 음악 1/9(2022.10.05)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부터는 고전시대의 오케스트라 음악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번 챕터를 마지막으로 고전시대가 벌써 끝이네요. 이전에 알아보았던 중세, 바로크 시대처럼 고전시대도 전체적인 사회적 흐름, 역사적인 사건 등을 함께 보면서 이해하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고전시대 오케스트라 음악은 교향곡과 협주곡으로 나뉠 수 있는데, 교향곡과 협주곡의 흐름을 다룬 뒤에 각 세 명의 대가들은 그 장르들을 어떻게 발전시켜왔는지에 대해 따로따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ⅩⅦ. 고전시대 오케스트라 음악 오케스트라라는 것은 하나의 성부를 여러 개의 악가기 함께 연주하는 합주 형태를 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케스트라 음악은 성부의 수보다 악기의 수가 더 많습니다. 이 현상..

서양음악사 2022.10.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