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21

바로크시대 기악음악 2/5(2022.07.21)-모음곡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기악음악의 한 장르였던 모음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바로크의 기악장르 바로크 시대 초기의 작곡가들은 르네상스 시대부터 전해내려왔던 기악적 유산을 성숙시키기도 했지만, 새로운 종류의 기악 작품들을 새롭게 만들어내기도 했습니다. 르네상스 시대부터 연주된 주요 기악음악 장르로는 춤반주를 위한, 또는 감상용으로 양식화되어 작곡된 춤곡과 모방대위적 짜임새를 가진 곡, 변주기법을 주로 사용하는 곡, 즉흥적 양식을 사용하는 곡 등이 있습니다.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들은 춤 리듬을 따라서 곡을 짝지어 놓던 르네상스 시대의 관습에서 더 나아가 여러 곡들을 서로 긴밀한 유기체가 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과정을 통해 일정한 순서로 정형화 시켰습니다. 이렇게 정형화 된 기악음..

서양음악사 2022.07.21

바로크시대 기악음악 1/5(2022.07.20)-악기, 오케스트라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바로크 시대의 성악음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오늘은 바로크시대의 기악음악은 어떻게 발전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ⅩⅡ. 바로크 시대의 기악음악 바로크 시대에는 성악음악의 눈부신 변화를 가져왔지만, 기악음악에서도 중요한 음악적 발전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바로크 시대 초기의 성악음악에서는 가사의 명료성과 표현성을 강조하는 극장 양식과 대위법적인 복잡성에서 벗어나게 된 모노디 양식, 불협화음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특징들이 다양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성향들은 르네상스 시대의 양식들과 차별화시키기 위한 극도의 실험이 진행되면서 나타나게 되었고, 점차 확고히하게 되면서 바로크의 시대적 양식을 확립하였으며, 점점 세련되게 사용되기 시작했습니..

서양음악사 2022.07.20

트럼펫 실전편(2022.07.19)-자기관리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자기관리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해당 글은 전문가 또는 전공생에게 참고될 만한 글이기 때문에 취미로 하시는 분들께서는 꼭 읽지 않으셔도 무방합니다. 트럼펫을 전문적으로 연주를 하게 되었다는 것은 연예인이 되었다는 것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주자라면 좋은 연주를 위해 자기관리를 철저하게 해야합니다. 자기관리를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대표적인 세 가지만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질병 연주자는 건강관리가 필수입니다. 아주 당연한 말로 들리시겠지만, 건강관리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느냐가 중요합니다. 연주회가 있는데, 건강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 감기에 걸린다면 2~3달동안 정말 열심히 연습을 했더라도 좋은 연주를 보여주기는 어려울 것입..

트럼펫 2022.07.19

바로크시대 성악음악 5/5(2022.07.18)-독일의 성악음악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독일의 오페라와 다른 음악장르가 어떻게 발달되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3) 독일 루터교회 음악 루터의 종교개혁으로 변화를 맞이한 독일의 북부지방에서는 종교개혁의 영향 아래에 있었으므로 코랄을 예배음악에 사용하는 것을 전통적으로 해왔지만, 바로크 시대의 변화로 점차 이탈리아에서 발생한 모노디양식과 콘체르타토 기법을 점점 활용하여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요한 헤르만 샤인(Johann Hermann Schein, 1586년 ~ 1630년)이 출판한 《신 이탈리아방식에 의한 종교적 콘체르토》(Opella nova geistliche Konzerte auf ietzo ebrauchlich Italianische Invention, 1618년 ~ 1626년)는 제..

서양음악사 2022.07.18

바로크시대 성악음악 4/5(2022.07.17)-칸타타, 오라토리오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오페라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새로운 성악 음악 장르인 칸타타와 오라토리오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2. 칸타타와 오라토리오 칸타타라는 말은 이탈리아어로 '노래하다'(cantare)라는 말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이 장르는 바로크 시대 초기에 변주된 유절형식(strophic variations)의 모노디 아리아를 지칭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17세기 중엽이 되어 칸타타는 다악장 형태의 성악곡이 되었고, 이 때부터 오페라, 오라토리오와 함께 바로크 시대의 3개 성악장르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칸타타의 가사들은 대채로 사랑의 내용을 극적으로 서술해내는 양식이였고, 종종 교훈적이 내용이 다루어지기도 했습니다. 칸타타의 음악은 가사에 맞춰 레치타티보와 아리아,..

서양음악사 2022.07.17

트럼펫 실전편(2022.07.16)-슬럼프 2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슬럼프에 대해 다루어볼 예정입니다. 지난 시간에 슬럼프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오늘은 슬럼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부분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슬럼프가 왔을 때 연습하는 방법 1) 마음가짐 슬럼프가 왔을때는 자신이 뭔가 뒷쳐진다는 느낌을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비교적 쉽게 성장하는 머리와 듣는 귀의 발달 때문에 더 그렇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먼저 가장 중요한 것은 평온한 마음가짐입니다. 지난 시간에도 강조드렸다시피 여유를 가져야만 합니다. 숨막혀하거나 잘 성장하지 않는 실력을 보면서 자신을 탓하다보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되려 뒷처지거나 슬럼프 기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슬럼프에 대해 답답하거나 불..

트럼펫 2022.07.16

바로크시대 성악음악 3/5(2022.07.15)-국가별 오페라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와 지역별로 발전된 오페라 양식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오늘은 국가별로 오페라가 어떻게 발전되어갔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프랑스 오페라 이탈리아의 오페라는 18세기 초까지 서유럽의 전 지역에 퍼졌습니다. 하지만 17세기 중엽까지 몇 편의 이탈리아 오페라가 파리에서 연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인들은 이탈리아 오페라를 자신들의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오페라도 만들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프랑스는 무대 발레에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프랑스어로는 노래하기가 어렵기 때문이었습니다. 결국 이런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고, 전통 발레를 오페라에 접목시키는데 성공한 쟝 밥티스트 륄리(Jea..

서양음악사 2022.07.15

바로크시대 성악음악 2/5(2022.07.14)-몬테베르디, 오페라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바로크시대의 성악음악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에 대해 알아보고, 지난 시간에 다루었던 오페라의 변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는 르네상스 시대의 마드리갈 작곡가로서도 활동했었는데, 바로크 시대의 기점으로 간주되는 1600년대에도 이미 동시대의 지도적인 작곡가로서도 인정받으며 활동하고 있었습니다.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는 혁신주의자이었기 때문에 현대음악의 창시자로도 묘사되었습니다. 무엇보다 많은 양의 마드리갈 작품들을 작곡하고 출판했던 그는 오페라라는 장르가 탄생한 후에 가장 먼저 오페라를 작곡한 첫 오페라 작곡가이기도 했습니다.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의 첫 번째 오페라 《..

서양음악사 2022.07.14

트럼펫 고장났을 때 수리하는 방법(2022.07.13)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트럼펫이 고장났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럼펫이 고장이 난다는 것은 두 가지로 인한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외부의 충격이고, 다른 하나는 조금씩 서서히 나타나는 결함으로 인한 고장입니다. 외부의 충격이라 함은, 소프트 케이스에 보관하고 있던 악기를 누군가가 실수로 밟아 벨이 완전히 휘어지는 경우나 악기를 연습하던 도중 악기를 들다가 1번 피스톤이 의자에 찍히면서 약간 찌그러져서 피스톤이 잘 눌리지 않고 "사각사각" 소리가 나기 시작한 경우입니다. 조금씩 서서히 나타나는 문제들은 주로 땀이나 침으로 인해 악기가 부식되어 아주 미세한 구멍이 나는 경우입니다. 또한 침을 뺄 수 있는 워터 키의 쇠가 오래되어 부러질 경우가 있습니다. 이 또..

트럼펫 꿀팁 2022.07.13

바로크시대 성악음악 1/5(2022.07.12)-모노디양식, 오페라

안녕하세요. 작은대학교입니다. 오늘은 바로크시대의 성악음악은 어떻게 발달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시기때부터는 르네상스 시대보다 훨씬 더 복잡한 양상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그래도 중세시대부터 어떤 기조로 변화해왔는지 떠올려보시면서 읽으시면 이해가 좀 더 수월하실겁니다. ⅩⅠ. 바로크시대의 성악음악 바로크 시대에 들어와 새롭게 등장한 성악 음악의 장르는 오페라와 칸타타, 그리고 오라토리오입니다. 중세시대에서 르네상스시대로 변화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바로크 시대에도 이전 시대의 음악 전통들이 완전히 단절된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오늘부터는 오페라와 칸타타, 오라토리오의 세 성악 장르와 르네상스 시대의 성악음악이 어떻게 변화되었고 새로운 양식으로 탄생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① 모노디(monod..

서양음악사 2022.07.12
반응형